2010년 2월 28일 일요일

지진-2010: 칠레,아이티...

 

 

Séisme au Chili: 78 morts et alertes au tsunami (AFP)

ACTUALISE A 14H15... Les autorités chiliennes ont fait évacuer l'île de Pâques. La Polynésie française pourrait être touchée par le tsunami.

 

 

사망자 122명으로 늘어···태평양 연안도 쓰나미 비상

 

<피해 속보>

- "진앙지 인근 콘셉시온 마치 폭격 맞은 듯"

- 칠레 11개 도시에 대형 쓰나미 상륙

- 한반도 해일 가능성…28일 오후 4시 전후

- "쓰나미, 태평양 거쳐 일본서 소멸될 것"

 

<지진 원인>

- 지구촌 `큰 지진' 왜 잇따르나

- 칠레, 환태평양 화산대로 지진은 `일상'

- 100년간 규모 8.0 이상 초강진 8건

- 세계 주요 지진.쓰나미 피해 일지 

 

 

 

지구촌 '큰 지진' 왜 잇따르나 (연합)

칠레, 일본 등 해양판-대륙판 충돌 경계서 빈발

 

지난달 30여만명의 목숨을 앗아간 아이티 지진에 이어 27일 칠레 중부 서해안에서 규모 8.8의 강진이 발생하는 등 올해 들어서도 피해 규모가 큰 지진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해에도 규모가 큰 지진이 지구촌 곳곳에서 자주 발생해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냈다. 9월에는 인도네시아에서 규모 7대의 강진이 잇따라 발생해 1천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했고, 같은달에는 미국령 사모아섬 일대에 규모 8.0의 강진으로 쓰나미가 발생해 200명 가까운 인명이 희생됐다. 작년 4월에는 이탈리아에서 규모 5.8 지진이 발생해 약 300명이 사망했다. 이에 앞서 2004년에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인근 해저에서 난 규모 9.1 강진으로 쓰나미가 발생해 22만명이 목숨을 잃었고, 2003년에는 이란에서 규모 6.7의 지진이 나 3만여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규모가 큰 지진은 지질학적으로 볼 때 판(板)이 충돌하는 경계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밀도가 높은 해양판인 `나스카판'이 보다 가벼운 대륙 쪽 `남미판' 아래로 밀려 들어가는 경계가 바로 칠레 해안선이어서 이 지역에 대지진이 잦다는 것이 지질학자들의 분석이다. 관측 사상 최대였던 지난 1960년 규모 9.5 지진이 났던 곳도 이 지역이다. 일본과 미국 캘리포니아 서해안 등도 비슷한 이유로 지진이 잦으며, 이런 지역들이 태평양 주변에 고리처럼 배치돼 있어 이를 `환태평양 지진대'라고 부른다. 그러나 대지진이 꼭 판 경계에서만 나는 것은 아니고, 내륙에 있는 판 내부 지역에서 큰 지진이 나는 경우도 드물지만 있다. 대표적인 예가 1976년 중국 탕산 대지진이다. 규모 7.8의 이 지진은 24만명의 생명을 앗아가고 도시를 순식간에 폐허로 만들어 역사상 가장 피해가 컸던 지진 중 하나로 기억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 나라는 어떨까. 판 경계로부터 멀리 떨어진 한반도는 칠레나 일본 등 지진 다발지역만큼 우려가 크지는 않지만, 판 내부 지진의 위험이 있어 완전히 안심할 수는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이덕기 기상청 지진정책과장은 "1978년 이후 5차례 있었던 규모 5점대 지진 정도는 언제든 올 수 있다는 것이 정설"이라며 "규모 6 이상 국내 지진의 관측 기록은 없으나 역사 기록을 보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봉곤 전북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대규모 인명피해를 낼 수 있는 규모 6.0 이상의 강진은 우리나라에 200∼300년 주기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인명 피해는 없었으나 1월18일 북한, 중국과 접한 극동 러시아 지역에서 규모 6.7의 강진이 발생했고, 27일 칠레 대지진에 이어 일본 오키나와 부근 바다에서 규모 6.9의 지진이 발생하는 등 한반도 주변에서 지진이 잇따라 발생하는 것도 국민을 불안하게 만든다.

그러나 최근에 대지진의 발생 빈도가 늘었다고 보기는 무리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관측 기술과 장비의 발달 등으로 소규모 지진 관측 보고는 늘었으나 규모 6 이상 지진의 발생 빈도는 별다른 변화가 없다는 것이다. 박상미 기상청 주무관은 "인구와 건물이 밀집된 지역에서 난 아이티 지진 참사 등을 계기로 국민과 언론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마치 지진이 예전보다 많이 발생하는 듯한 느낌이 드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조봉곤 전북대 교수는 "최근 지진이 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고 전 지구적으로 대체로 일정하게 나고 있다는 것이 과학자들의 일치된 의견"이라며 "문제는 언제 어디서 나는가 하는 것인데 지금으로서는 예측이 불가능하다"며 이 분야 연구 투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지진 방재 전문가인 정길호 소방방재청 연구관은 "지진 피해는 절대적인 지진 규모보다 인구와 건물이 밀집한 지역에서 나는가에 달려 있다"며 국가적인 지진 방재 대책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연합

 

기사입력 2010-02-27 오후 9:26:08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40100227212537&section=05

2010년 2월 27일 토요일

Quelle démocratie après Habermas ?

Réflexions sur la post-démocratie / par Daniel Schulz [22-02-2010]
Quelle est l’actualité de la réflexion démocratique après Habermas ? Deux politistes tentent de dépasser l’opposition entre représentation et participation, tout en se penchant sur les raisons du déficit démocratique au niveau européen. Le réveil de l’esprit démocratique passe, selon eux, par une participation accrue et la structuration de conflits politisés.
 
Demokratie. Zumutung und Versprechen   Wie Demokratien leben
Recensés : Christoph Möllers, Demokratie. Zumutung und Versprechen, Berlin, Verlag Klaus Wagenbach 2008.
Paul Ginsborg, Wie Demokratien leben, Berlin, Verlag Klaus Wagenbach 2008.

 

Vingt ans après la chute du Mur, la situation de la démocratie semble paradoxale : d’une part, elle est le seul vainqueur de la sanglante compétition des systèmes politiques du XXe siècle. D’autre part, elle fait face, depuis quelques temps, à un défi précisément nommé : « post-démocratie » est le terme que les commentateurs ont choisi pour décrire l’état des systèmes occidentaux. Nos formes de vie politique peuvent-elles encore être comprises comme des démocraties ? Ou cet ancien concept, porteur de tant d’espoirs, est-il relégué aux oubliettes par cette sceptique auto-qualification ?

 

Interprétations post-démocratiques de la démocratie

Actuellement, le débat européen sur la « post-démocratie » est intense et largement répandu. Les interpellations de Danilo Zolo, Jean-Marie Guéhenno et Colin Crouch ont suscité une attention certaine, au-delà même du cercle des théoriciens politiques . Le scénario le plus souvent envisagé met en scène une communauté dénuée de tout pouvoir, qui, malgré sa façade démocratique, est dominée par des lobbies ou des groupes d’intérêts et qui a abandonné sa capacité décisionnelle à des structures oligarchiques invisibles. Pourtant, dans l’ombre de ce débat, quelques essais méritent d’être pris en considération. Ceux-ci livrent une interprétation inédite de la démocratie, et, dans le même temps, développent un raisonnement qui ne débouche pas sur une sceptique résignation, mais plutôt sur une promesse de liberté qui offre un nouvel élan à cet ordre politique. La maison d’édition berlinoise Wagenbach tente, à l’aide d’une nouvelle série d’essais, de créer un forum de discussion et de déplacer l’attention portée aux diagnostics pessimistes vers des réflexions plus constructives, qui envisagent une échappatoire à la démocratie.

 

La question posée par Paul Ginsborg – « comment vivre la démocratie ? » – renvoie à un moment-clé de ces réflexions : la thèse centrale tient dans la compréhension de la démocratie, qui ne peut être réduite à la fonction d’une forme de gouvernement, d’un système décisionnel, mais doit être envisagée comme une forme de société et de vie, telle que Tocqueville la décrit dans son livre fondamental De la Démocratie en Amérique. Christoph Möllers, constitutionnaliste, défend une semblable compréhension socioculturelle de l’ordre démocratique : la démocratie « exprime le mieux comment nous nous comprenons nous-mêmes : en tant que personnes libres, sous la reconnaissance mutuelle de la liberté de tous les autres » (p. 13).

Pour les deux auteurs, il ne s’agit donc pas de développer une idéologie pure, une « justification » philosophique de la démocratie ; ils ont à cœur de dégager un horizon d’argumentation qui préconise une compréhension pragmatique de la démocratie. Ainsi, parmi les références théoriques de Christoph Möllers, on trouve certes Kant et Rousseau, mais aussi John Dewey et Richard Rorty, qui ont toujours considéré leurs réflexions théoriques démocratiques comme une interprétation liée au contexte de la communauté politique et participant à son discours identitaire.

 

L’effort pour sortir des sentiers battus des théories démocratiques unit Ginsborg et Möllers. La controverse sur la démocratie a longtemps été définie par les antagonismes entre les approches représentatives et les approches démocratiques directes. Aussi bien Ginsborg que Möllers essaient, dans leurs réflexions, de remettre en question cette contradiction idéologique, afin d’adopter une perspective dans laquelle participation et représentation n’apparaîtraient pas comme antagonistes. D’ailleurs, ils procèdent sans recourir à la rhétorique de la « troisième voie » (elle aussi chargée de représentations idéologiques), ce qui donne à leurs essais une fraîcheur bienvenue.

Comment ces deux auteurs réagissent-ils par rapport aux diagnostics de la post-démocratie ? Celle-ci est considérée comme une occasion pour repenser l’identité et les formes de la communauté démocratique, car, quand on annonce leur mort, les démocraties se retrouvent démunies : elles ressemblent, comme dit Ginsborg, à un « empereur sans ses habits ». Quels habits proposent donc Ginsborg et Möllers pour dérober le prince à sa nudité ?

 

펼쳐두기..


 

Kim Yun-a (in 르몽드, AFP)

VANCOUVER (Canada) (AFP) - La Sud-Coréenne Kim Yu-na, 19 ans, a été sacrée championne olympique de patinage artistique, une première dans l'histoire de son pays, avec une note totale historique de 228,56 points devant la Japonaise Mao Asada et la Canadienne Joannie Rochette, jeudi à Vancouver.

Asada a obtenu un total de 205,50 points. Rochette, qui avait choisi de participer à la compétition malgré le décès de sa mère survenu dimanche, a totalisé 202,64 points.

Kim Yu-na, championne du monde en titre, est la première représentante du patinage artistique sud-coréen à monter sur la plus haute marche du podium olympique.

En 2009 à Los Angeles, elle était devenue la première patineuse artistique de son pays championne du monde. Jamais deux Asiatiques n'étaient montées sur le podium des Jeux dans les épreuves individuelles de patinage artistique.

Kim Yu-na, qui avait déjà assommé ses adversaires avec un programme court excellent, a été tout aussi époustouflante sur le libre (150,06 points, record de note) par sa valeur artistique et ses éléments techniques. La jeune Sud-Coréenne a fondu en larmes alors qu'elle était encore sur la glace et a rejoint son entraîneur, le Canadien Brian Orser, sous les acclamations d'un public debout.

Asada, championne du monde 2008, est passée juste après Yu-na et l'annonce des notes records de sa rivale. Les deux patineuses sont des rivales de longue date. Elles s'affrontent depuis qu'elles sont en juniors et ont participé à leurs premiers Jeux à Vancouver. Asada, 19 ans également, est la seule à avoir battu la Sud-Coréenne lors des deux dernières saisons.

A Vancouver, elle n'a pas réussi à être la meilleure pour succéder à sa compatriote, Shizuka Arakawa, première Japonaise à être sacrée championne olympique en 2006 à Turin.

Rochette, dauphine de Yu-na aux Mondiaux-2009, a surmonté son émotion pour décrocher sa première médaille olympique à 24 ans, quatre jours après le décès de mère, victime d'une crise cardiaque en arrivant à Vancouver. "Je suis fière et heureuse d'être sur le podium. C'était un projet de vie avec ma mère et on l'a réalisé", a-t-elle dit. Cela faisait 22 ans que le Canada n'était plus monté sur le podium olympique dans l'épreuve féminine. La dernière médaillée canadienne était Elizabeth Manley aux JO-1988.

Le classement final de l'épreuve de patinage artistique dames des jeux Olympiques de Vancouver:

1. Kim Yu-na (KOR) 228,56 pts

2. Mao Asada (JPN) 205,50

3. Joannie Rochette (CAN) 202,64

4. Mirai Nagasu (USA) 190,15

5. Miki Ando (JPN) 188,86

6. Laura Lepisto (FIN) 187,97

7. Rachael Flatt (USA) 182,49

8. Akiko Suzuki (JPN) 181,44

9. Alena Leonova (RUS) 172,46

10. Ksenia Makarova (RUS) 171,91

11. Kiira Korpi (FIN) 161,57

12. Cynthia Phaneuf (CAN) 156,62

13. Kwak Min-Jung (KOR) 155,53

14. Elene Gedevanishvili (GEO) 155,24

15. Sarah Meier (SUI) 152,81

16. Carolina Kostner (ITA) 151,90

17. Julia Sebestyen (HUN) 151,26

18. Sarah Hecken (GER) 143,94

19. Liu Yan (CHN) 143,47

20. Cheltzie Lee (AUS) 138,16

21. Elena Glebova (EST) 134,19

22. Sonia Lafuente (ESP) 133,51

23. Anastasia Gimazetdinova (UZB) 131,65

24. Tugba Karademir (TUR) 129,54

 

 

cf. Site officiel des Jeux (Site officiel des Jeux)

2010년 2월 22일 월요일

[무상급식3] 전원 vs 선별, 당신은 어느 편?

전원 무상급식 vs 선별 무상급식, 당신은 어느 편?

[복지국가SOCIETY] 복지는 '시혜'가 아니라 '권리'다

 

최근 김상곤 경기교육감의 '무상급식' 정책이 우리 사회의 쟁점이 되고 있다. 진보와 보수의 시각이 분명하게 갈리는 것이다.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김상곤 경기교육감의 무상급식 예산을 전액 삭감한 경기도 의회의 행동을 지지하며, 한 모임에서 "경기도 의회에 박수를 보내자"라고 주변을 독려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야당들은 김상곤 경기교육감을 지지하고 나섰고, 최근 경기도지사 출마를 선언한 진보신당의 심상정 전 대표는 경기도 교육의 발전을 위해 김상곤 교육감과 함께 뛰겠다며 적극적인 지지와 연대의 의사를 표시하였다.

이 사안에 대해 여당인 한나라당의 정서는 어떨까? 경남교육청이 2010년부터 중학교 무상급식을 추진하자, 한나라당의 이 모 의원은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에서 "가정 형편에 관계없이 무조건 무상급식을 실시하는 데 예산을 투입하는 것은 사회주의적 발상"이라고 비판했다고 한다. 최근에는 한나라당의 손 모 의원도 국회의원 회관의 한 행사에서 무상급식을 사회주의와 관련지어 이념 공세를 편 바가 있었다. 이명박 정부가 추구하고 있는 '능동적 복지'도 그 핵심은 무상급식 같은 보편주의 복지를 반대하고, 전통적인 구빈법적 원리에 따른 잔여주의의 선별적 복지를 옹호하는 것이다. 결국, 정부, 여당, 경기도 모두가 신자유주의의 잔여주의 복지를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역대 정부들이 추구해온 복지는 소득과 자산조사를 통해 가난한 사람들을 선별하고, 이들에게 주로 복지를 제공하는 잔여주의 복지였는데, 이제 많은 진보개혁 성향의 정치인들이 이것의 한계와 문제점을 인식하게 되면서, 김상곤 경기교육감의 무상급식 정책을 지지하고 나선 것이다. [...] 기존의 우파적 사고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시혜로 베푸는 잔여주의 복지가 아닌, 사회권적 시민권으로 모든 사회구성원이 당연히 누려야할 권리로서의 복지인 '보편주의' 복지를 이해할 수 없었을 것이다. 이들 우파 세력은 모든 국민들이 사회권적 시민권 의식을 분명하게 체득하고, 그 헌법적 권리를 요구하며, 완전하게 행사하려는 상황, 즉 보편적 복지의 제도화를 가장 두려워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사회주의'라는 이념적 공세까지 등장한 것이다.

[...] 1997년의 외환위기 이후, 지난 10여 년에 걸친 신자유주의의 구조화로 인해 우리나라는 양극화 성장체제를 내재한 시장만능 국가가 되어버렸다. 이로 인해 우리 국민들은 양극화의 고통과 민생의 불안을 일상적으로 겪고 있다. 특히, 이명박 정부의 본격적인 신자유주의 정책 추진과 세계적 금융위기의 여파 속에서 경제사회의 양극화와 민생의 불안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제, 대립 지점, 즉 전선은 분명하다. 본격적 신자유주의 세력과 보편적 복지국가 세력 간의 대결이다. 후자가 이길 때, 노동자와 서민과 중산층이 행복한 보편주의 복지국가의 시대가 열리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치, 특히 진보정치가 중요하다. 국민의 투표 참여와 올바른 선택이 보편적 복지국가의 실현을 가능하게 한다.

 

[...] 누구나 인정하듯, 우리 사회의 지배적 이념은 신자유주의(시장만능주의)이고 지배적 복지 이념은 잔여주의이다. [...] 우리 정치권과 국민들이 신자유주의와 잔여주의 복지의 지속적 추진인가? 아니면, 복지국가와 보편주의 복지로의 획기적 전환인가? 경기도민 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가 치열하게 토론하고 정치적으로 결정해야 할 때가 된 것이다. [...] 만약에 심 전 대표가 당락을 떠나 경기도 전역에서 보편주의 복지의 바람을 들불처럼 일으키는 데 성공한다면, 그래서 경기도민들의 마음속에 억눌린 채 잠재되어 있던 '보편적 복지에 대한 사회권적 요구'가 분출되고, 요구의 수준이 높아진다면, 이것은 곧 전국으로 확산될 것인 바, 장차 심상정의 경기도가 보편적 복지의 전국적 교두보가 되는 것이다. 우리는 그 때를 꿈꾸자. 그리고 지금은 심상정 전 대표의 '보편적 복지'를 향한 힘차고도 헌신적인 도전에 성원의 박수를 보내야 할 때다.

 

이상이 복지국가소사이어티 공동대표·제주대학교 교수, 기사입력 2010-01-26 07:44:47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100125162602&section=01

 

 

[...] 예컨대, 서울·대구·인천뿐 아니라 지하철이 지나는 모든 지자체에서는 ‘65세 이상 노인의 지하철 무임승차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지하철 적자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고령화 현상으로 지자체들의 부담이 갈수록 증가함에도, 노인들의 표를 의식한 정치권에서는 그 제도를 손질하지 못하고 있다. 소득수준에 따라 차등 할인하는 방법 등을 검토하고 있으나, 몇 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노인의 지하철 무임승차 제도’가 다른 나라에서는 유례를 찾기 힘든 대중영합주의 정책임을 고려하면, 꽤 많은 복지국가에서 이미 실시하고 있는 무상급식 제도를 한국에서 시행하는 것이 시기상조라는 주장은 이치에 맞지 않다. [...]

[시론]초·중학교 무상급식이 필요한 이유 설동훈|전북대 교수·사회학, 입력 : 2010-02-22 11:47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002221147565&code=990303

 

 

sur 외국 사례

"의무교육 무상급식은 '글로벌 스탠더드'다. 미국, 영국, 일본, 스웨덴 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대부분은 의무교육 기간 중 무상 급식을 실시하고 있다." (park ju sun depute du parti democratique)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100219180214&section=01

 

“1946년부터 연방정부가 점심 급식을 지원하기 시작했던 미국에서는 현재 아침식사와 간식까지 지원을 늘리는 프로그램을 시행 중이다. 전체 아동의 약 50%는 무상이고 10%는 할인을 받고 있다. 영국에서는 ‘건강한 시작’이라는 뜻의 ‘헬시 스타트’ 급식 제도가 있는데, 이는 무상급식을 서민층 임신부에게까지 확대한 것이다. 태아 때부터 균형잡힌 영양섭취가 중요하다는 국민보건 차원의 정책이다.” (조흥식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57))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002200200455&code=910110

'기본소득' 주장의 허구성 (채만수)

과학에서 몽상으로 사회주의의 발전ㆍ발전ㆍ발전!

[정세와노동] ‘기본소득 국제학술대회’(2010. 1. 27-29)에 부쳐

 

채만수 (노동사회과학연구소 소장)  / 참세상 2010년02월22일 13시13분

 

I

과학적 사회주의의 창시자 중의 한 사람인 엥겔스는 1880년에 <<공상에서 과학으로 사회주의의 발전>>이라는 소책자를 썼고, 맑스는 그 책의 서문에서 이를 “과학적 사회주의의 입문서”1)라고 불렀다. 그로부터 채 한 세기 반(半)도 격하지 않은 이 시대, 이 오랜 반동의 시대의 ‘진보적’ 지식인들, ‘진보적’ 교수들, ‘진보적’ 활동가들은 마침내 ‘과학에서 몽상으로’ 사회주의의 위대한 발전을 성취해내기에 이른 것 같다. 여러 ‘진보적’ 학술단체들, ‘진보적’ 정당들, ‘진보적’ 언론들이 후원하고 선전했기 때문에 알 만한 사람은 이미 다 알겠지만, 지난 1월 27일부터 29일까지 서울에서 열린 이른바 ‘기본소득 국제학술대회’ 이야기다.


다름 아니라, 내로라하는 ‘진보적’ 지식인들, ‘진보적’ 교수들, ‘진보적’ 활동가들, 다른 말로 하면, “우리와 우리 시대를 둘러싼 낡은 족쇄를 끊어내고 인류가 쟁취해야 할 세계사적 과업을 실천하는 사람들,”2) “19세기 노예제 폐지, 20세기 보통선거권 쟁취에 버금가는 21세기 세계사적 과제로 기본소득 쟁취를 들고 나온 사람들”3)이 우르르 그 소위 ‘학술대회’에 몰려가 “우리가 직면한 위기를 해결할 대안”(!), “위기의 폭이 넓고 깊은 만큼” “더욱 근본적이고, 간결하면서도 강력”한 “대안”(!), “공허한 이상이 아니라 현실에 기초한 구체적인 요구, 대중의 삶의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요구”(!)를 외치고 선언했기 때문이다. “기본소득”이라는 요구를! “기본소득”이라는 대안을!


‘참가자 일동’의 ‘선언’에 의하면, 아니, 그들의 “사고”에 의하면, “기본소득”이란 “세계적 금융위기를 통해 충분히 그 마각을 드러낸 신자유주의 시대를 철저히 종식시킬 뿐만 아니라 현재의 자본주의와 현존했던 사회주의 모두를 뛰어넘는 대안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디딤돌”이다. 그리고


기본소득은 어떠한 심사나 노동 요구도 없이 모든 사회구성원에게 개별적으로 지급하는 조건 없는 소득이다. 기본소득은 기존의 선별적이고 잔여적인 복지 패러다임을 넘어 보편적 복지 패러다임을 완성하는 지렛대이며, 완전고용이라는 가상과 자본주의적 임금노동의 전일화로부터 탈피하여 노동사회를 안팎으로부터 재구성할 촉매제이다. 기본소득은 단순히 현금소득으로 다른 모든 것을 대체하려는 시도도, 분배의 개선만으로 다른 모든 가능성을 차단하려는 시도도 아니다. 기본소득의 보편적 성격은 그것에 기존의 소득들과는 다른 새로운 힘을 부여하며, 새로운 가능성의 영역들을 만들어낸다.


새삼스레 느끼는 바이지만, 아- 인지(人智)의 위대함(!)이여! 장기간의 대반동의 파괴적 위력이여! 게다가 그 “필요성과 정당성에 공감”할 뿐만 아니라 “그 가능성과 현실성 또한 충분히 고려하고 있”고, “이를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실천해왔”다니, 한없는 찬사와 존경을!


II

우선 나는, ‘선언’의 ‘참가자 일동’이 자신들을 “기본소득을, 세계적 금융위기를 통해 충분히 그 마각을 드러낸 신자유주의 시대를 철저히 종식시킬 뿐만 아니라 현재의 자본주의와 현존했던 사회주의 모두를 뛰어넘는 대안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디딤돌로 사고하는 사람들”로 규정하는 대목을 특히 주목한다. 바로 이 대목에야말로 저들 ‘진보적’ 지식인들, ‘진보적’ 교수들, ‘진보적’ 활동가들의 몽상뿐만 아니라 저들의 기만과 사기, 그리고 필시 제기될 비판을 ‘오독(!)에 기초한 비판ㆍ비난’이라고 맞받아칠 간교한 장치가 압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요령 없이 거듭 중복되는 인용에 양해를 구하면서 하는 말이지만, 방금 본 것처럼, 저들은 자신들이 얘기하는 이른바 “기본소득 쟁취” 혹은 “기본소득 ... 제도화”를 “우리와 우리 시대를 둘러싼 낡은 족쇄를 끊어내고 인류가 쟁취해야 할 세계사적 과업,” ““19세기 노예제 폐지, 20세기 보통선거권 쟁취에 버금가는 21세기 세계사적 과제,” “우리가 직면한 위기를 해결할 대안,” “위기의 폭이 넓고 깊은 만큼” “더욱 근본적이고, 간결하면서도 강력”한 “대안,” “공허한 이상이 아니라 현실에 기초한 구체적인 요구, 대중의 삶의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요구”로 규정한다. 그러면서도 바로 뒤에서는 간교하게도 이를 “... 나아가기 위한 디딤돌로 사고” 운운하고 있다.


이렇게 “기본소득을”, 아니, 보다 정확히는 저들이 주장하는 “기본소득 쟁취” 혹은 “기본소득 ... 제도화”를, “대안사회” 그 자체의 기본적 분배제도가 아니라, “... 대안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디딤돌로 사고”한다고 할 때, 저들이 아무리 “글로벌 시대의 지속 가능한 유토피아와 기본소득”4) 운운하더라도 그것을 과학이 아니라 망상이라고 비판하는 것은 “오독에 기초한, 비판 아닌 비난”이라고 되받아칠 근거를 저들은 갖게 된다. “현재의 자본주의와 현존했던 사회주의 모두를 뛰어넘는” 것은 고사하고 “세계적 금융위기를 통해 충분히 그 마각을 드러낸 신자유주의 시대”가 생생하게 살아 있더라도 저들은 당당한(?) 변명의 근거를 갖게 된다. 말이 되든 안 되든, 염치 불구하고, “우리는 단지 ‘대안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디딤돌로 사고’했을 뿐”이라고 능히 변명하고 되받아치고도 남을 위인들이니까 말이다.


III. ['기본소득 서울 선언' - 비판 6]

펼쳐두기..

 

IV

‘대회’에 즈음하여 발표한 ‘기본소득 서울 선언’도 명확히 하고 있는 것처럼, 저들은 자신들이 “기본소득을, 세계적 금융위기를 통해 충분히 그 마각을 드러낸 신자유주의 시대를 철저히 종식시킬 뿐만 아니라 현재의 자본주의와 현존했던 사회주의 모두를 뛰어넘는 대안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디딤돌로 사고”하고 있으며, 그 “필요성과 정당성에 공감”할 뿐만 아니라 “그 가능성과 현실성 또한 충분히 고려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런데 저들 모두는, “현재의 자본주의와 현존했던 사회주의 모두를 뛰어넘는 대안사회”니, “사회주의[자본주의 이후 사회의 실현]”이니, “현 체제를 뛰어넘는 전혀 새로운 세상”이니, “현 체제를 뛰어넘는 이상”이니 하는 따위의, 그야말로 자신들의 본심을 은폐하기 위한 기만적 허사(虛辭)를 제외하고는, 자본주의적 생산관계를 폐지하려는 어떤 방안이나, 하다못해 당위성ㆍ필요성조차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오히려 자본주의적 생산관계를 온존시키려 하고 있고, 그를 위해서 자본주의적 생산관계를 온존시키고도 노동자들이나 노동자단체, 사회운동단체들이 ‘기본소득’을 이해하고 강령적으로 채택하기만 하면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을 온존시키고도 누구에게나 “조건 없는 기본소득”이 보장될 것 같은 환상을 유포하려고 하고 있다. 결국 저들의 주장에 의하면, ‘기본소득’의 보장은 생산관계의 변혁과는 무관한 분배관계의 변혁의 문제인 것이다.


이수봉 민주노총 대변인의 글에서 본 것처럼 과학 및 ‘과학주의’와 더불어 맑스와 맑스주의는 이미 시대에 뒤떨어지고 그리하여 반동적으로까지 된 “근대주의적 이데올로기”로 거부ㆍ매도되고 있고, 적잖은 수의 천재들, 곧 대반동기의 자식들이 “맑스를 넘어선 맑스”를 자처하고 있지만, 나의 비판은 역시 맑스와 맑스주의에 입각할 수밖에 없다.

그리하여 인용하건대, 맑스는 예컨대 이렇게 얘기하고 있다.


... 이른바 분배를 가지고 소란을 떨고 그것에 역점을 두는 것은 대체로 오류였다.

어떤 시대에나 소비수단의 분배는 생산조건 자체의 분배의 결과에 불과하다. 그러나 생산조건의 분배는 생산양식 자체의 한 특징이다.54)


속류사회주의(그리고 그를 본받아 민주주의자의 일부)는 부르주아 경제학자들로부터, 분배를 생산양식으로부터 독립적인 것으로 고찰하고, 취급하고, 따라서 사회주의를 주로 분배를 중심으로 하는 것처럼 설명하는 방식을 이어받고 있다.55)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은 ... 그것이 특수한 종류(Art)의, 특정한 역사적 규정성을 지닌 한 생산양식이라는 것, 다른 모든 특정한 생산양식과 마찬가지로 그것이 어떤 주어진 단계의 역사적 생산력과 그 발전형태를 그 역사적 조건으로서 전제하는데 그 조건이란 그 자체가 선행한 과정의 역사적 성과이고 산물이며 거기에서 그것을 주어진 기초로 하여 새로운 생산양식이 나온다고 하는 것, 이러한 특정한 역사적으로 규정된 생산양식에 대응하는 생산관계― 인간이 그들의 사회적인 생활과정 속에서, 그 사회적 생활을 생산하면서 들어가는 관계 ―는 하나의 특정한, 역사적인, 그리고 경과적인(vor"ubergehenden)성격을 갖는다는 것, 그리고 마지막으로 분배관계는 이 생산관계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며 그 뒷면이고, 그리하여 양자는 동일한, 역사적으로 경과적인 성격을 공유한다는 것을 입증한다.56)


그리고 엥겔스도 이렇게 얘기한다.


[뒤링이 결국,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은 전적으로 좋아서 지속될 수 있지만, 자본주의적 분배양식은 쓸데없는 것이며 폐지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하고 있는 데에 대해서: 인용자] 생산과 분배의 관계조차 이해하지 못하고 경제학에 대해서 쓰면 이러한 정신 나간 소리(Unsinn)를 하게 된다.57)


이미 앞에서 본 것처럼,58) 뒤링의 경제학은 결국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은 전적으로 좋고 계속 존속할 수 있으나, 자본주의적 분배양식은 악으로부터 나오는 것이고 소멸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명제로 귀착된다. 이제 우리는 뒤링 씨의 ‘공정사회’(Sozialit"at)란 이 명제를 공상(Phantasie) 속에서 실행한 것 이외의 아무것도 아님을 알고 있다. 사실상 명백해진 것은 뒤링 씨는 자본주의 사회의 생산양식―본래의 의미에서의―에 대해서는 거의 아무것도 비난하지 않았다는 것, 그는 낡은 분업을 모든 본질적인 면에서 유지하려고 하며, 따라서 또한 그의 경제적 코뮌 내부의 생산에 관해서는 거의 한 마디도 할 말이 없다는 것이다. 생산은 물론 단단한 사실들이 다루어지는 영역이며, 따라서 수치(羞恥)를 안길 위험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합리적인 공상’이 그 자유로운 영혼을 날개 치게 할 여지를 단지 조금만 주는 영역이다. 그에 반해서 분배는, 뒤링 씨의 견해에 의하면, 생산과는 물론 전혀 관련이 없으며, 그것은 그에 따르면 생산에 의해서가 아니라 순수한 의지행위에 의해서 규정되기 때문에 ― 분배야말로 그의 '사회적 연금술'을 위해 숙명적으로 예정된 영역이다.59)


이들 인용문들이 의미하는 바는 어떤 부연설명도 필요 없을 만큼 그 자체로서 명확하다. 그리고 특히 엥겔스로부터의 마지막 인용문은 ‘뒤링 씨’를 ‘기본소득론자들’로, “‘공정사회’(Sozialit"at)”를 ‘기본소득’으로 바꾸어 읽는다면, 그야말로 정확히 ‘기본소득’을 설교하는 저들 ‘진보적’ 지식인들과 활동가들을 두고 하는 말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물론 상당 정도의 사회보장제도가 작동하고 있는 서유럽이나 북유럽의 체제를, 즉 이른바 사회민주주의 체제를 외면하지도 무시하지도 않는다. 그 사회는 분명 자본주의 체제이지만 우리 사회는 물론 자본주의 세계의 다른 대부분의 국가사회보다도 훨씬 더 ‘기본적 복지’가 보장되어 있는 체제이다. 여기에서도 저들 소위 기본소득론자들은 자신들 주장의 잠재적 현실성, 그 실현 가능성을 강변하고 싶을지 모른다. 이렇게 외치면서 말이다. ― “보라, 자본주의 체제의 존속을 전제한다고 해서 ‘기본적 복지’의 보장이 불가능한 것이 아니지 않느냐?” “우리가 지향하는 바는 바로 그보다 불과 몇 걸음 더 나아가는 것일 뿐이다!”


그런데 서유럽과 북유럽의 저 소위 사회민주의의 체제는 과연, 저들이 암묵 중에 상정하는 것처럼, 탁상의 산물로서 그것을 획득하려는 운동 속에서, 그러한 운동의 성과로서 형성되고 발전되어 온 것이던가? 결코 아니지 않은가?


저들 소위 사회민주주의 체제는 분명 그 사회의 노동자계급이 사회민주주의적 복지제도를 위해서가 아니라 자본주의를 타도하고 사회주의를 건설하려고 혁명적으로 진출한 결과이며, 노동자들이 그렇게 혁명적으로 진출하는 조건 속에서 자본주의를 지키기 위해 독점자본가계급이 어쩔 수 없이 후퇴한 결과일 뿐이다. 1930년대 대공황과 제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그리고 특히, 1930년대에는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전반적 위기와는 정반대로 승승장구했고, 제2차 대전기에는 나찌 독일의 침략과 파괴ㆍ살육에 대항하여 2000만 명 이상의 희생을 치르는 대전쟁을 겪으면서도 꾸준히 성장ㆍ발전하던 사회주의 쏘련을 보면서, 그 사회의 노동자계급이 혁명적으로 진출한 결과인 것이다. 바로 자본주의를 타도하고 사회주의를 건설하려는 노동자계급의 혁명적 진출, 그리고 그러한 혁명적 진출을 자극한 사회주의 쏘련의 존재와 그 발전이야말로 저들 소위 사회민주주의 체제가 형성되게 된 원인이자 배경이었던 것이다.


이 점은 노동자계급의 성형과 발전, 그리고 그 정치적 운동의 역사가 길고 쏘련에 지리적으로 근접해 있었던 유럽에서 사회보장제도가 가장 튼튼하게 형성되었다는 사실에 의해서도 입증되고 있다.


나아가 이 점은 또한 이후 소위 사회민주주의 체제의 ‘발전’과 관련해서도 의미심장하다.

1950년대 후반 이후 자본주의 선진국가들의 노동자계급은 그 사회보장제도에 안주하고 매달리며 그 혁명성, 전투성을 상실해갔다. 쏘련은 수정주의로 빠져들어 갔다. 그리고 이들 조건에 힘입어 독점자본의 이데올로기 기구는 쏘련을 악의 제국으로 낙인찍는 데에 성공했다. 이렇게 되자 저들 사민주의적 사회보장은 답보하고 약화되기 시작했다. 노동자계급이 혁명성을 상실하고 사민주의적 사회보장제도에 안주하여 그에 매달리면 매달릴수록, 쏘련이 후루쇼프 이래 수정주의의 득세로 그 사회주의가 약화되면 약화될수록, 그리고 그러한 조건 속에서 독점자본의 그리고 ‘좌익’ 반쏘분자들의 반쏘 악선전이 대중을 포획하면서 쏘련이 악의 제국으로 낙인찍히면 찍힐수록, 저 사민주의적 사회보장제도는 약화ㆍ해체되어 갔던 것이다. 물론 쏘련을 위시한 20세기 사회주의 체제가 해체된 이후 그 약화ㆍ해체는 속도를 더해왔다. ‘개혁’이라는 이름으로.


그러나 저들 소위 기본소득론자들은 저간의 그러한 역사적 사실에 대해서는 아예 관심도 없고 알지도 못하거나, 어렴풋이 알면서도 그 불치의 반동성 때문에 이를 결코 인정하려들지 않는다. 그러면서 ‘기본소득’이라는 또 하나의 몽상, 또 하나의 몽상적인 사민주의 정책ㆍ운동으로 독점자본 지배의 이 대반동의 시대를 역전시킬 수도 있다는 듯이 노동자 대중을 기만하면서, 그들을 독점자본의 재단에 제물로 바치려 하고 있다.


진보적임을 자처하는 지식인들이여, 제발 사기 좀 작작 처라! 그리고 부끄러워할 줄 알라!

 

Notes 1~59

 

펼쳐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