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2월 5일 금요일

"혁명의 연출":<공산당 선언>(1848)[르몽드-이번주의 책]

Couverture de l'ouvrage de Marx et Engels, "Manifeste du parti communiste" (Le Livre de Poche).

 

무슨 계기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르몽드의 '이번주의 책' 코너에서는 맑스-엘겔스의 <공산당 선언>(1848)을 다루고 있다. 두 명의 전문가에게 이 책의 의미와 과제 등에 대하여 들어보는 인터뷰 기사와 간단한 '책소개 박스 기사'가 그것이다. 인터뷰기사에서 흥미로운 부분만 살펴본다 (내맘대로 대충번역) :

 

[둘째문단] 1844년에 헤스(Moses Hess)가 <공산주의 교리문답>을 발간했었는데, 1847년 11월에 엥겔스는 맑스에게 '교리문답'을 폐기하고 그것을 '공산주의 선언'으로 부르자고 제안한다. <교리문답>이 비밀사회단체의 선전서클을 지향했다면, <선언>은 전 세계를 향한 공산주의의 정면 공포(선포)에 나섰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렇게해서 1848년에 <공산당 선언>이 탄생하는데, <선언>의 초기 명칭은 <공산당 선언>이었으나 1872년 독일어판부터는 <공산주의 선언>이 됐다고 한다. 왜냐하면 1852년에 벌써 '공산주의자 연대 정당'의 해체를 제안한 맑스는 "현대사회의 곳곳에서 우발적으로 연속하여 탄생하는 프롤레타리아계급의 자생적 조직화"에 기초하는 정당을 "하루살이 단명의 정당"과 엄격히 구별했기 때문이다. 즉 <공산주의 선언>은 기존의 도식적 틀로서의 정당이 아니라 프롤레타리아계급의 자생적-우발적-영속적 조직화를 목표로 했다는 말이겠다.

« Moses Hess, surnommé le "rabbin communiste", publie en 1844 un Catéchisme communiste par questions et réponses. [...] Engels suggéra à Marx dès novembre 1847 "de laisser tomber la forme catéchisme et d'appeler ça "Manifeste communiste"". A la différence du catéchisme, destiné à des cercles de propagande ou à des sociétés secrètes, le Manifeste se veut une proclamation "à la face du monde entier". Son titre initial, Manifeste du parti communiste, ne devient Manifeste communiste qu'à partir de l'édition allemande de 1872. Marx, qui proposa lui-même de dissoudre la Ligue des communistes en 1852, faisait très bien la différence entre "le parti compris dans le sens tout à fait éphémère" et le parti qui "naît partout spontanément du sol de la société moderne", c'est-à-dire de l'organisation spontanée du prolétariat en classe. »

 

또 하나 흥미로운 것은 바디우와 지젝에 대한 비판 부분이다 :

 

[밑에서 둘째문단] 맑시즘의 가장 풍요로운 대목은, 그 이론이 의식이나 의지의 단순 표출행위에 머물지 않고 실천을 스스로의 논리로 무장한 '실천적 유물론' 이라는 것이다. 즉 스스로의 역사를 만들어가는 인간은, 그 역사가 실재 역사의 우발성으로부터 무차별적인 영원한 이념이나 무규정적 가정으로나 가능한 그런 역사(공산주의)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부여된) 주변역학(circonstances-정황) 속에서 구체적 역사를 산출해내야 한다는 말이다. 그런데 바로 이 전자의 공산주의(이념과 가정에 의한)를 방어하는 사람들이 있으니, 바로 바디우와 지젝이 그들이다. 그들의 그런(살찐-배부른) "구원적(祈願) 맑시즘"은 단순한 수사학적 경배(hommage)로 점철되고[한마디로 '말로만 하는 공산주의'라는 것], 결국은 강력한 종교적 범주 속의 이상주의(관념주의)로 회귀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 Le plus fécond chez Marx, c'est l'idée que, loin d'être la simple projection d'une conscience ou d'une volonté, les pratiques ont leur logique propre qui fait que leur résultat échappe souvent au contrôle des acteurs eux-mêmes : les hommes font leur propre histoire, mais ils la font dans des circonstances données. Si l'on reste fidèle à ce "matérialisme des pratiques", on ne peut que s'interdire de faire du communisme une hypothèse indéterminée ou une idée éternelle indifférente aux contingences de l'Histoire réelle. Cette conception, notamment défendue par Alain Badiou et Slavoj Zizek aujourd'hui, nourrit un "marxisme d'invocation" qui, sous couvert d'un hommage purement rhétorique, en revient à un idéalisme à forte dimension religieuse. »

 

 

[인터뷰] "Une mise en scène de la révolution"

LE MONDE DES LIVRES | 04.02.10 | 12h42
Les livres qui ont changé le monde (19/20) - "Manifeste du parti communiste", de Marx et Engels vu par Pierre Dardot, philosophe et Christian Laval, sociologue

펼쳐두기..


Extrait (<공산당선언> 발췌)

펼쳐두기..

 

Le bréviaire de toute l'Europe révolutionnaire
LE MONDE DES LIVRES | 04.02.10 | 12h42

펼쳐두기..

 

 | Communisme, un spectre philosophique (外1)
LE MONDE DES LIVRES | 4 février 2010 | Jean Birnbaum | 1030 mots
Vingt ans après la chute du mur de Berlin, l'"idée" communiste est redevenue un étendard pour plusieurs intellectuels de renom. Philosophes ou sociologues, ils s'inspirent du récit marxiste pour essayer de tracer un nouvel horizon d'émancipation.

펼쳐두기..

 


* 링크만 걸지 않고 기사를 퍼다두는 이유는 르몽드의 지난 기사들은 시간이 지나면 모두 유료로 변하기 때문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