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2월 16일 수요일

영리병원, 이것만은 막자.

영리병원 도입 戰 :

기획재정부 vs 보건복지가족부 (한국개발연구원(KDI) vs 보건산업진흥원)

 

기획재정부와 보건복지가족부는 [12월] 15일 한국개발연구원(KDI)과 보건산업진흥원에 공동 발주한 ‘투자개방형 의료법인(영리 의료법인) 도입 필요성 연구’에 대한 용역 결과를 발표했다. 하지만 두 기관의 보고서는 지금까지 영리 의료법인 도입을 놓고 대립해온 재정부(찬성)와 복지부(반대)의 입장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 두 부처는 내년 1월 공청회 등을 거쳐 영리 의료법인 도입과 보완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하지만 양측의 간극이 커 향후 추진 과정은 난항이 예상된다. [...]

 

 

보건산업진흥원 : 영리 의료법인을 해외환자유치형, 고급의료충족형, 자본조달·기능특화형, 산업연계형 등 4가지 유형으로 분석한 결과 생산유발 효과는 1조3000억~7조5000억원, 고용창출 효과는 1만~5만8000명이었다. 반면 의사들이 대거 영리 의료법인으로 유출되면서 기존 중소병원은 최대 92개가 폐쇄되고 국민의료비용도 최소 7000억원에서 최대 4조3000억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 (김준기기자, 경향 2009-12-15 18:15)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12151815105&code=910100

 

[...] 김은혜 청와대 대변인은 “이 대통령이 의료산업 선진화에 관심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영리의료법인 도입 문제는 부처간 의견이 엇갈리는 만큼 자율적 조정에 맡긴 상황”이라고 밝혔다. 논란이 이 대통령으로 번지는 것을 막겠다는 의도다. 청와대 정책라인의 핵심 관계자도 “영리의료법인 도입 문제는 정부내 협의를 더 거쳐야 한다”며 “아직 결정된 게 없다”고 말했다.(*1)
[...] 부처 갈등을 넘어 국론분열로까지 번지는 데도 복지부가 꿋꿋하게 버티는 것은 그만큼 예상되는 부작용이 크다는 뜻이다. 영리병원은 외부에서 투자자본이 투입돼 주식회사 형태로 운영되는 만큼 주주들의 기대에 부응해야 한다. 수익을 올리기 위해선 돈이 되는 ‘비보험’에 집중할 수밖에 없고 결국 추가 의료행위를 부추기다 보면 국민의료비는 상승하게 된다. 의료 양극화는 심해진다. 우수 의료인력이 대도시 영리병원에 집중되면 의료사각지대에 놓인 지방과 농어촌은 진료받기가 더 힘들어진다. 필수 의료영역(산부인과, 응급실, 중환자실 등) 붕괴는 물론이고 지역간 의료인프라 격차가 심해져 서민들의 의료접근성이 크게 약화되는 것이다. 한국이 모델로 삼고 있는 태국만 해도 영리법인과 의사들이 지방에는 없고 방콕에만 몰려 있다. 또 수익창출이 안되거나 재정이 취약한 중소병원은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 개인병원이 기업화되고 영리병원이 전체의 20~30%를 차지할 경우 시장가격을 지배하면서 의료비 통제는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일자리 창출 효과도 의문이다. 현재 기존 병원조차 병상과잉으로 폐업이 늘고 있다. 투자수익 극대화를 위해 정규직 대신 임시직을 고용할 가능성이 큰 만큼 의료서비스 저하도 우려된다. 첨단 의료기술 개발논리도 설득력이 약하다는 지적이다. 첨단 의료기술은 엄격한 윤리적 임상시험이 요구되는 만큼 외국과 마찬가지로 공립 또는 비영리 대학병원에서 이뤄져야 하기 때문이다. 복지부는 이 같은 부작용을 줄이려면 7조~12조원에 이르는 예산집행이 선행돼야 하다고 주장한다. [...] (*2)

(*1)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12151814085&code=910203
(*1)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12151813415&code=940601

 

경향 사설(12/15 23시) : [...] 얼핏 보면 두 기관이 각각 찬성·반대 논리를 뒷받침한 것처럼 보이지만 차별성은 영리법인 도입의 전제 조건과 속도 정도가 눈에 띈다. 게다가 한국개발연구원의 부작용 해소 방안은 부실하고 추상적이어서 사실상 부작용을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보건산업진흥원이 보완책으로 내건 의료 취약지 지원·응급의료체계 구축 등 공공의료 강화는 재정 여건상 현실성이 떨어진다. [...] 중요한 것은 의료 산업화 확대를 통해 얻게 될 이득이 의료 접근권이라는 기본적 권리의 훼손을 감수하면서까지 추진해야 할 가치인가 하는 점이다. 단순히 영리병원 도입의 득과 실을 나란히 저울질하기보다는 의료 시장주의의 문을 여는 것이 과연 옳은 정책 방향이냐의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 정부가 말하는 의료 선진화란 결국 산업화를 촉진해 더 많은 국부를 창출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진정한 의료 선진화는 유럽 선진국들처럼 의료비의 재정 비율을 높이는 등 의료의 공공성을 강화해 국민이 의료 불안 없이 살 수 있는 방향으로 전진하는 것이다. 실패한 의료보험 제도를 개혁하기 위해 발버둥치는 미국의 시장주의 의료 시스템을 따라가는 것이 어떻게 선진화로 포장될 수 있는가. 국민들은 가뜩이나 사회안전망이 부실한 우리 현실에서 그나마 위안을 주고 있는 국민건강보험마저 흔들릴까 불안해하고 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12152333085&code=990101

 

 

--------------- 12/03일 포스트(삭제후 이동) -----------------

 

MB정권에는 전부가 유명환이나 현인택 같은 무개념의 꼴통 막가파 놈들만 있는 줄로 알았더니 가끔은 괜찮은 사람도 있는 모양이다. 내부 역학관계나 정권 본연의 저열한 정체성 때문에 앞으로의 추이가 어떻게 돌아가고 꼬일지는 모르겠지만, 얼마전에는 외고문제로 정두언이 쓸만하다고 보여지더니만, 오늘(12/3일) 경향신문에 실린 인터뷰에서 전재희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이 의료민영화에 대하여 부정적인 견해를 밝히고 "생명권"이라는 말로 건강보험을 지킬 신념을 나타내니 천만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더구나 둘 다 "신임받는 장관"이라니, 제발 뭔가를 잘 모르고 고집만 쎈 각하를 잘 좀 지도편달해 주시길 기대해 본다. 앞으로 두 사람을 주의깊게 지켜봐야겠다. 이하 일부 펌:

 

전재희 복지“영리병원 부작용 보완책 선행 안되면 허가 못해”

전재희 복지 “영리병원 도입 위한 전제 조건은…” 대담 이중근 사회부장 (경향신문)

경향신문 입력 : 2009-12-02 18:17:21ㅣ수정 : 2009-12-03 01:15:14

전재희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은 현안으로 떠오른 저출산 문제와 관련, “앞으로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이 10년인데 이때 해결하지 못하면 큰 문제가 발생한다”며 조속한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신종인플루엔자 A(신종플루) 대유행에 대해서는 국가전염병 재난단계 하향 가능성을 언급하면서도 경계심을 늦추지 않았다. 이어 “예방접종을 안전하게 계획대로 마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영리의료법인 허용에 대한 그의 소신은 확고해보였다. “부작용을 제거할 수 있는 확실한 장치가 마련되지 않는 한 도입하기 어렵다”는 것이 그의 논지다. ‘전 장관의 반대 때문에 영리의료법인이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는 주장도 무리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예의 조용하면서도 강단 있는 모습이 신임받는 장관이 되면서 한층 강화된 듯했다. 인터뷰는 지난달 27일 서울 종로구 계동 복지부장관실에서 1시간여 동안 진행됐다.

 

펼쳐두기..


 

댓글 없음:

댓글 쓰기